글로벌 서비스를 만드는 데 있어,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다국어화(i18n)은 필수 기능입니다. 개발팀 입장에서는 i18n 라이브러리를 도입하고, JSON 파일로 각 언어의 텍스트를 관리하면 기본적인 구현은 끝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번역 작업은 단순한 텍스트 … 국제화를 위한 프론트엔드 발판 다지기 (i18n)Read more
데이터이펙트 Multi-Tenant SaaS Architecture 구축
안녕하세요, Moons입니다.오늘은 제가 Dataeffect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면서 경험한 Multi-Tenant SaaS 아키텍처 구축 과정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우리가 이 아키텍처를 도입하게 된 이유와 그 과정에서 겪었던 시행착오들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Multi-Tenant 아키텍처 도입 개요 Multi-Tenant 아키텍처는 여러 고객이 … 데이터이펙트 Multi-Tenant SaaS Architecture 구축Read more
DuckDB로 SNS 데이터 Cleansing 하기
안녕하세요, 피처링 엔진 팀의 Harry입니다. 최근 피처링 엔진 팀에서는 수많은 SNS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uckDB를 활용해 SNS Raw Data를 사용하기 쉽도록 정제(Cleansing)하고 적재하는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이런 고민이 … DuckDB로 SNS 데이터 Cleansing 하기Read more
AI와 애드테크를 피처링에서 이해해야 하는 이유
AI·애드테크 기반으로 인플루언서와 브랜드를 자동 매칭하고, 성공 예측과 창의적 협업을 이끄는 피처링. 업계를 재정의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마케팅 생태계를 제시하는 글
피처링 리포트 아키텍처 살펴보기 A to Z
피처링 리포트의 수집부터 분석, 리포트로 나타나기까지 백엔드부터 프론트엔드의 기술을 모두 살펴보는 글.
피처링 서비스의 아키텍처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아키텍처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지 간단한 소개
Notion API로 프론트엔드 없이 랜딩 만들어 보기
노션으로 랜딩 블로그, 고객 문의를 관리하고 싶어요.” 노션을 통해 통합 관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 될만한 글입니다.